IT/Linux

Centos 시스템 명령어 요약

달상자 2015. 3. 20. 08:57

users : 로그인된 유저 정보 출력(=who -q)

groups : 유저가 속해있는 그룹 출력(그룹번호)

chown, chgrp : 파일/디렉토리 소유자를 변경과 그룹 변경

useradd, userdel : 유저 추가 및 삭제

usermod, groupmod :  유저의 각종 정보 변경과 구급 이름이나 그룹 아이디를 변경할때 사용

id : 유저아이디, 그룹아이디, UID, EUID, GROUPS 변수 값을 출력

lid : 유저 소속 그룹 출력

who : 로그인된 유저 정보 출력

w : 로그인된 유저 정보 출력

logname : 처음 로그인한 유저명 출력 (/var/run/utmp)

whoami : 현재 로그인된 유저명 출력

 

 

su : 유저 변경 (관리자root: su -)

sudo : 다른 유저로 명령실행(/etc/sudoers)

passwd : 패스워드 생성/변경

ac : 유저 로그인 시간 단위로 출력(/var/log/wtmp)

last : 유저 마지막 로그인 시간 출력(/var/log/wtmp)

last reboot : 리부팅 시간 출력

newgrp :  유저 그룹 변경/추가, 쉘을 나오면 초기화된다.

 

 

tty : 현재 유저 터미널 출력

stty : 터미널 설정/변경

stterm : 터미널 설정값 변경

test : 터미널 설정 초기화/타입 출력

setserial : (?)

getty, agetty : (?)

mesg : 터미널 전근 제어

wall, write : 메시지 전송

 

 

uname : 커널/시스템 정보 출력

 옵션: :a (전부 출력)

arch : 아키텍처 출력

lastlog : 모든 유저 마지막 로그인 시간 출력

lsof : 시스템에 오픈된 파일 목록 출력

strace : 명령에 시스템 콜/시그널 추척

ltrace : 명령에 라이브러리 콜을 추척

nc : TCP/UDP포트 커넥션/리슨 출력

옵션: -z (포트 검색)

예) nc -z localhost 1-80 (1~80 포트까지 검색)

free : 메모리 정보

procinfo : /proc 정보 출력(?)

lsdev : 디바이스 장치 출력(?)

du : 파일 용량 출력

df : 파일시스템 용량 출력

dmesg : 드라이브 메시지 출력

stat : 파일 정보 출력

vmstat : 가상 메모리 정보 출력

netstat : 네트워크 정보 출력

uptime : 운영시간, 평균 부하 출력

hostname : 호스트명 출력몇 변경

hostid :32비트 16진수 식별자 출력(?)

readelf : elf바이너리 파일 정보 출력

size : 바이너리/아카이브 파일의 세그먼트 크기 출력(?)

 

 

logger : 시스템 로그 기록하는 명령어(/var/log/messages)

logrotate : 시스템 로그 파일 관리

 

 

ps : 실행중인 프로세스 출력

pgrep, pkill : 시그널 프로세스 검색(?)

pstree : 실행중인 프로세스 트리 출력

top : 시스템 상황 정보 출력(cpu, mem, 기타)

nice : 스케줄링 우선권 조정

nohup : (?)

pidof : 실행 중인 프로세스 아이디 검색

fuser : 파일/소켓을 사용하고 있는 프로세스 출력

cron : 스케줄러

 

 

init : 런레벨 지정 및 실행

runlevel : 현재 런레벨 확인

halt, shutdown, poweroff, reboot : 시스템 종료 및 재시작

service : 시스템 서비스를 시작, 확인, 중지

 

 

ifconfig :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설정 및 확인

iwconfig : 무선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설정 및 확인

ip : 라우팅, 디바이스 설정 및 확인

route : 라우팅 설정 및 확인

chkconfig : 서비스 런레벨 별로 관리

tcpdump : 네트워크 패킷을 실시간으로 출력

 

 

mount : 파일시스템 마운트(cd, usb, 기타등등)

umount : 마운트된 파일시스템 해제

sync : 모든 버퍼를 하드디스크에 즉시 저장

losetup : 파일 또는 블럭 장치를 연결

mkswap, dd : 스왑 파일 또는 스왑 파티션 생성

swapon, swapoff : 스왑 파일 도는 파티션 on/off

mkfs.ext3 : ext3 파일시스템을 만들때 사용

hdparm : 하드디스크 설정 및 확인

fdisk : 디바이스의 파티션 테이블 생성 및 설정

fsck.ext3 : ext3 파일 시스템 체크, 수리 (단 umount된 상태에서 사용)

badblocks : 지정된 디바이스에 물리적 배드블럭을 체크

lsusb : usb 디바이스 목록 출력

lspci : pci 디바이스 목록 출력

mkbootdisk : 부트 플로피 디스크를 만든다.

mkisofs : iso9660(CD) 이미지를 만든다

chroot : root 디렉토리 변경(보안용)

lockfile : 세마포어 잠금으로 파일, 디바이스, 리소스등을 관리

flock : 지정한 명령이 완료할 때까지 잠금 설정으로 다른 접근을 차단(?)

 

 

dump, restore : 백업 유틸

fdformat : 플로피 디스크 포맷

 

 

ulimit : 시스템 리소스 사용의 상한 제한값을 설정

quota : 유저와 그룹의 디스크 사용량 제한값을 출력(quotaon, quotaoff)

setquota : 유저와 그룹의 디스크 사용량 제한값 설정

umask : 유저의 파일 생성 퍼미션 마스크를 설정

rdev : root 파일 시스템 부분을 찾아 정보를 보여준다(?) (swapdev, ramsize, vidmode, rootflags)

 

 

ismod : 설치된 커널 모듈 출력

insmod : 커널 모듈을 강제로 추가

rmmod : 커널 모듈 강제로 제거

modprobe : 커널 모듈을 추가, 제거하는 명령

depmod 모듈 의존성 파일을 생성

modinfo : 모듈의 대한 정보 출력

 

 

env : 환경변수를 출력 또는 다른 환경에서 실행

ldd : 싱행 파일에 대한 공유 라이브러리 의존성을 출력

watch : 지정한 명령을 지정된 시간 단위로 갱신하여 화면(Fullscreen)에 출력

nm : strip되지 않은 컴파일된 오브젝트 파일의 심볼 목록을 출력

strip : 오브젝트 파일의 디버킹 심볼 레퍼런스를 제거하여 파일 크기를 줄인다.

 

 

 

============================ 개별 추가 ============================

 

which : 실행 파일의 위치를 알아보기

'IT > Linux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tar, gzip, tgz: 파일 압축하기  (0) 2015.03.20
passwd: 사용자 패스워드 변경  (0) 2015.03.20
more: 출력화면 조절  (0) 2015.03.20
ls: 파일 리스트 정보 출력  (0) 2015.03.20
ping: 서버 점검 및 체크 위한 도구  (0) 2015.03.20